THE BLISSKING ENGLISH

미국 길 이야기 본문

미국 생활

미국 길 이야기

BK USA 2024. 1. 23. 14:02
반응형
구글 사진 캡쳐

미국 길 이야기

미국인의 약 90%가 고속도로 5마일 이내에 거주하고 있을 정도로 미국인들의 ‘길’에 대한 중요도는 매우 크다. 미국의 길은 공부?를 하면 금방 동서남북을 알고 어디에든 쉽게 찾아갈 수 있는  시스템이다.  우리가 미국 영화나 드라마에서 보던 무슨 AVE,  STREET등이 도로의 이름들이다.
미국 도로의 역사와 특성을 알아보려고 한다.
 
 

미국 도로의 역사

광활하고 넓은 미국의 땅. 시대가 발달하고 먼 거리도 단번에 갈 수 있는 비행기 수송이 정점을 이루는 지금 이 시대에도 미국의 물류이동은 대다수 대형 트럭을 통한 도로 수송으로 이루어진다.
미국에서 도로는 매우 중요한 의미이다.
미국의 도로는 유럽의 식민지 시대부터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인디언의 오솔길을 이용하거나, 강과 호수를 따라 나무로 다리를 놓아 이동했다. 식민지 시대가 끝나고 미국이 독립을 하게 되면서, 새로운 도로를 건설하기 위한 노력이 시작되었다.
1806, 토마스 제퍼슨 대통령은 루이지애나 매입을 통해 막대한 영토를 확보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새로운 영토를 개척하고, 남북을 연결하기 위한 도로 건설이 본격화되었다. 1811, 윌리엄 클레이 상원의원은 워싱턴 D.C.에서 센트루이얼 플래인스를 거쳐 뉴올리언스까지 이어지는 690마일(1,110km) 국도 건설을 제안했다. 제안은 1825 의회에서 통과되어, 1830년대에 완공되었다. 도로는 미국 최초의 국도로, "National Road"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19세기 중반, 미국의 산업혁명이 시작되면서, 도로 건설은 더욱 활발해졌다. 철도와 함께, 도로는 물자와 사람의 이동을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1862,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은 "공공 도로 건설법" 제정하여, 연방 정부가 도로 건설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했다. 법에 따라, 미국 전역에 16 마일(26 km) 도로가 건설되었다.
20세기 들어, 미국의 도로 건설은 더욱 가속화되었다. 1 세계 대전과 2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군사적 목적을 위한 도로 건설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또한, 자동차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자동차 전용 도로의 건설이 이루어졌다. 1956,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국도 고속화법" 제정하여, 41,000마일(66,000km) 고속도로 건설을 추진했다. 법에 따라, 미국 전역에 고속도로망이 구축되었다.
 

최초의 국도 - 루트 66

미국 최초의 국도중 대표적으로 유명한 최초의 국도가 바로 루트 66이다. 루트 66 1926 11 26일에 완공된 국도로,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를 잇는 길이 3,945km 도로이다. 생명력을 가진 젖줄이라고 해서 마더로드, 타운과 타운을 잇는 중심도로라 해서 메인 스트리트, 피 끓는 정열이 담겨있는 곳이라고 해서 블라디 66, 길 자체가 대명사란 의미로 더 루트라고 불리는 국도. 바로 미국의 최초 대륙횡단도로 루트 66번(Route 66)이다. 루트 66은 역사 그 자체로미국 경제불황기에 미국 국민들이  ‘캘리포니아 드림’을 을 안고, 대공항 이후, 1950년대 후반까지 수 만 명의 농민과 노동자들이 새로운 삶을 찾아 시카고에서 태평양까지 2446마일을 루트 66을 따라 서부로 서부로 이주해 왔다..
이주하면서 중간중간에 작은 상점들이 생겨나기 시작했 많은 영화와 뮤직비디오의 무대가 되기도 하였다.. 존 스타인벡의 소설 ‘분노의 포도’의 배경이 되었고 엘비스 프레슬리, 냇킹 콜, 폴 앵카, 밥 딜런, 척 베리 등 수많은 가수들이 이 길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했다.

지금은 신생 고속도로에 밀려 제 기능
이 이전과 같지 않지만루트 66번은 특별하다. 문화ㆍ예술ㆍ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일리노이, 미주리, 캔자스, 오클라호마, 텍사스, 뉴멕시코, 애리조나주 등 7개 주에서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1985 미국 지도에서 삭제되었으나, 2003 66 국도의 복원이 마무리되었다.
현재, 주로 관광객들이 이용하거나 추억을 떠올리는 미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는 미국 국도로 이용되며,  미국의 개척 정신과 자유를 상징하는 도로로, 미국인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미국 도로의 구분

 도로의 중요 순위

현재, 미국의 도로 총길이는 640 마일(1,030 km) 달한다. 이는 세계에서 가장 도로망이다. 미국의 도로는 크게 국도, 주도, 군도, 지방도, 시도로 구분된다. 국도는 연방 정부가 관리하는 도로로, 주도보다 우선권을 갖는다. 주도는 정부가 관리하는 도로로, 국도와 지방도 사이에 위치한다. 군도는 군사 목적을 위한 도로로, 주도와 지방도보다 우선권을 갖는다. 지방도는 군이나 시가 관리하는 도로로, 시도로보다 우선권을 갖는다. 시도는 시가 관리하는 도로로, 가장 낮은 등급의 도로이다.
 

미국의 도로명의 특징

미국의 도로명은 크게 일반 도로명과 특별 도로명으로 구분할 있다.
일반 도로명:  도로의 방향이나 특징을 나타내는 도로명으로 도로의 방향을 나타내는 단어와 도로의 특징을 나타내는 단어로 이루어진다.
 도로의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
Street : 남북으로 뻗은 도로
AVE(Avenue) : 동서로 뻗은 도로
BLVD(Boulevard) : 넓고 정비된 도로
DR(Drive) : 주로 주거 지역의 도로
RD(Road) : 일반적인 도로
 
도로의 특징 나타내는 용어
LN(Lane) : 길쭉한 도로
CR(Circle) : 원형 도로
PKWY(Parkway) : 공원과 연결된 도로
CT(Court) : 주로 주거 지역의 작은 도로
PL(Place) : 주로 공원이나 광장 주변의 도로
 
특별 도로명:도로의 역사적, 문화적 의미를 나타내는 도로명으로 인물, 지명, 사건 등을 기념하는 단어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George Washington Avenue 미국 초대 대통령인 조지 워싱턴을 기념하는 도로명이고  Main Street 주로 도시의 중심부에 위치한 도로로, 메인 스트리트라고 불린다.
 

미국에서 가장흔한 도로이름

미국에서 가장 많은 도로 이름은 ‘2가’다. 연방 센서스국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미대륙에는 총 1만 866개의 2가가 존재한다. 그 뒤를 3가(1만 131개), 1가(9898개), 4가(9190개), 파크(8926), 5가(8186개), 5가(8186개), 매인(7644개), 오크(6946개) 순이다. 1가는 메인 스트리트(Main st.)나 역사적 상징으로 개명하는 경우가 많다.
 

미국에서 가장 긴 도로

미국 내 가장 긴 도로는 서부 워싱턴주의 시애틀에서 동부 매서추세츠 주의 보스턴을 연결하는 90번 고속도로(I-90)다. 총길이가 3020마일(4861Km)로 경부고속도로의 11배가 넘는 거리다. 2위는 샌프란시스코에서 뉴욕을 잇는 80번 고속도로(I-80)로 총길이 2902마일이다. 미국인은 고속도로를 통해 정지신호 없이 미국 전역을 오갈 수 있다.
 

미국의 고속도로 - FREE WAY

캘리포니아 오리건 워싱턴주 등 서부지역에서 흔히 고속도로를 '프리웨이'라고 부른다. 1939년 캘리포니아 교통법에 따라 고속도로의 명칭이 부여됐다. 프리웨이의 프리(Free)는 흔히 생각하는 '무료'가 아니라 '신호등이 없다'는 뜻이다. 즉 신호등으로부터 자유롭다는 뜻이다. 프리웨이를 이용하면 미국 전역을 정지 신호 없이 마음껏 오갈 수 있다.
그러나 서부 지역 대부분의 프리웨이에는 통행료가 없기 때문에 무료라는 뜻의 '프리'로 통용되기도 한다.

반면, 시카고나 뉴욕 같은 대도시 근처의 턴 파이크(Turn Pike) 톨웨이(Tollway) 스루웨이(Thruway)에서는 통행료를 징수하는 고속도로도 많다.

캘리포니아에서도 오렌지 카운티를 가로지르는 91 73 133 241 261번 프리웨이 샌디에이고의 사우스베이 익스프레스 웨이 북가주의 미드 스테이트 톨웨이 골든게이트 브리지 베이브리지 등에서 통행료가 부과된다.

고속도로는 번호 이외도 각각의 애칭을 가지고 있다. 캘리포니아를 남북으로 길게 가르는 5번 고속도로(I-5)는 골든 스테이트 프리웨이(Golden State Freeway)로 불린다. 골든 스테이트는 골드러시가 이뤄진 캘리포니아를 뜻한다.
고속도로에는 또 유명 인사나 순직한 공무원들의 이름을 붙이기도 한다. 118번 고속도로는 33대 캘리포니아 주지사였던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의 이름이 붙여졌다.
한인을 기리는 구간도 있다. 10번 프리웨이에서 101번 프리웨이로 이어지는 교차로 구간은 독립운동가 도산 안창호 인터체인지로 이름 지어졌다.
LA 북쪽 순환도로 126번 프리웨이의 명칭은 '한국 참전 용사 기념 도로(The Korean War Veterans' Memorial Highway)'다. 이 도로에는 1950년 한국전에서 전사한 미군 5만 4246명을.기리는 표시가 곳곳에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