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BLISSKING ENGLISH

작은 집(TINY HOUSE) 이야기 본문

미국 생활

작은 집(TINY HOUSE) 이야기

BK USA 2024. 1. 31. 15:54
반응형

작은 집(TINY HOUSE) 이야기 

즐겨보는 YOUTIBE중에 THE  TINY HOUSE TOUR라는 것이 있다. 작은 공간에 필요한 것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구성한 집을 자기들만의 스타일로 만들어 살아가는 사람들의 집 이야기이다. 집 소유자들은 거리낌없이, 오히려 자랑스럽게 자신들의 작은 궁전?을 소개한다. 미국에서 조용히 퍼져나가는 작은 집 열풍을 공유해보려고 한다.

그는 TINY HOUSE에서 무엇을 깨달은 걸까?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월든>에는 TINY HOUSE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나는 14평의 작은 집을 지었다. 거기에는 침실, 부엌, 거실이 있었고, 작은 뜰도 있었다. 나는 그 집에서 2년 동안 살았다. 그동안 나는 많은 것을 배웠다. 나는 물건을 최소화하고, 단순한 삶을 살아야 한다는 것을 배웠다. 나는 자연 속에서 살아가는 것의 즐거움도 배웠다."
소로는  월든 호숫가에 6미터 x 5미터 크기의 최소한의 공간이 들어간 작은 집을 지었다. 소로는 그 집에서 2년 동안 살았고 사는동안 삶에 대한 교훈과 깨달음을 얻었다.  물건을 최소화하고, 단순한 삶을  자연 속에서 살아가며  즐거움을 얻었다고 한다.
소로의 경험은 TINY HOUSE 운동의 시작점이 되었다. 그는 TINY HOUSE를 통해 물질적 풍요보다는 단순한 삶의 가치를 강조했다.
 

TINY HOUSE란

말 그대로 "작은 집"이다 . 일반적으로 20 m²(평방미터)부터46m²(평방미터) 이하의 주거 건축물을 TINY HOUSE라고 부른다. TINY HOUSE는 일반적으로 주방, 침실, 거실이 있는 1 베드룸으로 만든다. 최근 일부 TINY HOUSE는 2 베드룸, 3 베드룸으로 구성하여 진정한  TINY HOUSE가 아닌 건축 효율성을 선호하는 이들이 TINY HOUSE 모델로 집을 건축하기도 한다.
TINY HOUSE 형태는 이동이 용이한 바퀴가 달린 이동식 형태와 고정식 형태가 있다.
 

관심이 일어난 이유 와  역사

대략, 1970년대 TINY HOUSE 운동이 시작되었다. 대규모 주거지와 소비주의에 대한 반발로 시작되었으며, 단순하고 지속 가능한 삶을 추구하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확산되기 시작했다. 
이 운동의 초기 주역 중 한 명은 스콧 리버맨이다. 리버맨은 1972년, 자신의 저서 "The Not So Big House"에서 대규모 주택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작은 집의 장점을 강조했다. 리버맨의 저서는 TINY HOUSE운동의 확산에 큰 영향을 미쳤다.
또 한 명의 영향력을 미친 인물로는 멜린다 윌슨이 있다. 윌슨은 1988년, 자신의 저서 "The Small House Book"에서 TINY HOUSE를 짓고 사는 방법을 소개했다. 윌슨의 저서는 TINY HOUSE를 직접 짓고 싶어하는 사람들에게 실질적인 길잡이가 되는 저서였다.
1990년대 들어서면서 TINY HOUSE운동이 본격 확산되었으며,  2000년대 들어서는 미국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2010년대 들어서는 TINY HOUSE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졌으며, TINY HOUSE를 짓는 회사와 관련 커뮤니티가 증가했다.
 

왜 매력적인가?

저렴한 비용 :  TINY HOUSE는 건설 비용이 적게 들어가므로 일반적으로 대규모 주택보다 저렴하다. 보통 목조로 지어지며 건설에 많은 자재가 필요하지 않고 토지 면적도 적게 필요하기 때문에  토지 구입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환경 친화적 : TINY HOUSE는 대규모 주택보다 공간을 적게 차지하기 때문에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 집을 지을 때 에너지 효율이 적용된 설비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자유로운 삶 : TINY HOUSE는 이동식 스타일로 만든 바퀴 달린 집은  이동이 자유롭와서 원하는 곳에서 생활을 할 수 있다. 자유로운 삶을 추구하는 사람들에게는  좋은 아이디어적 주거공간이다.   원하는 곳으로  언제든지 이동하여 생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단순한 삶 : TINY HOUSE는 공간이 좁아서 불필요한 물건을 줄이고 단순한 삶을 살아야 한다. 물질적인 소비를 줄이고 정신적으로 풍요로운 삶을 추구하는 사람들에게 적합하다.
 

단점?

좁은 공간 :TINY HOUSE는 공간이 좁다. 그래서 생활에 불편을 느낄 수 있다. 특히, 가족이 있거나, 많은 물건을 가지고 있는 경우, 불편을 느낄 수 있다.
편의시설 부족: 대규모 주택에 비해 편의시설이 부족할 수 있다.  주방, 화장실, 침실 등 기본적인 편의시설도 최소한으로 맞추어 넣기 때문에 공간이 부족할 수 있다.
주차 공간 부족: 모빌홈 스타일(컨테이너 스타일) TINY HOUSE의 경우, 주차 공간이 부족할 수 있다. 특히, 도시 지역에서는 주차 공간의  어려움이 있다.
법적 규제 :일부 지역에서는 법적 규제를 받을 수 있다. 특히, 주거용 건축물로 인정받지 못하면 건축 허가를 받지 못할 수 있다.
 

TINY HOUSE의 단점 보완 전략

미국에서 TINY HOUSE의 붐이 일기 시작하고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실제로 구입하는 사례들이 많아지면서 협소한 공간이라는 단점을 보완하는 방법들이 생겨났다. 
작은 공간이지만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는 설계를 도입한다던지, 편의 시설을 최소화하여 미니멀한 삶을 추구하므로 공간을 더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방식 등이다.
주차공간확보문제 역시 따로 토지를 더 구입하던 지, 주차공간이 제공되는 주거단지에 입주하는 방법 등을 집을 구입하는 사람들이 채택하기도 한다.
 

 TINY HOUSE 회사와 단체

TINY HOUSE의 인기로 회사들이 많이 생겨났다. 2023년 기준으로 대중에게 알려진 회사들을 알아보았다.
THOW Industries는 1996년에 설립된 미국의 TINY HOUSE 회사이다. 다양한 크기와 디자인의 TINY HOUSE를 제작하고 있다.

구글사진 캡쳐

Tiny Heirloom는 2011년에 설립된 미국의 TINY HOUSE 회사이다. Tiny Heirloom은 이름에서 느껴지듯 고급스러운 디자인의 TINY HOUSE를 제작하고 있다.

구글사진 캡쳐

The Tiny Life는 2014년에 설립된 미국의 TINY HOUSE 회사이다. The Tiny Life는 다양한 기능을 갖춘 TINY HOUSE를 제작하고 있다.

구글사진 캡쳐

Dweller는 2021년에 설립된 미국의 TINY HOUSE 회사이다. Dweller는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되는 TINY HOUSE를 제작하고 있다. 현재,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이는 회사이다.

구글사진 캡쳐

Live Simply는 2022년에 설립된 미국의 TINY HOUSE 회사이다. Live Simply는 환경 친화적인 TINY HOUSE를 제작하고 있다.

구글사진 캡쳐

Tiny House Expedition는 2023년에 설립된 미국의 TINY HOUSE 회사이다. Tiny House Expedition은 다양한 지역에 적합한 TINY HOUSE를 제작하고 있다..

구글사진 캡쳐

 
미국에서 영향력 있는 TINY HOUSE 단체들도 있다.
**American Tiny House Association (ATHA)**는 미국 최대의 TINY HOUSE 단체이다. ATHA는 TINY HOUSE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TINY HOUSE 운동을 대중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Tiny House Society는 미국의 또 다른 TINY HOUSE 단체이다. Tiny House Society는 TINY HOUSE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TINY HOUSE 커뮤니티를 형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Tiny House Magazine는 미국의 TINY HOUSE 전문 잡지이다. 미국의 대형서점인 반스 앤 노블스에 가면 주로 입구 쪽에 널찍이 자리 잡은 잡지 가판대에 볼 수 있다.  Tiny House Magazine은 TINY HOUSE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2023년 8월 기준으로 가장 성장률이 높고 소위 잘나가는 TINY HOUSE 회사는 Dweller이다. Dweller는 2021년에 설립되었으며,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되는 TINY HOUSE를 제작하고 있다. Dweller의 TINY HOUSE는 평균 가격이 약 50,000달러로, 다른 TINY HOUSE 회사에 비해 저렴한 편이다. 또한, Dweller는 고객의 요구에 맞는 맞춤형 TINY HOUSE를 제작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Dweller의 성장률은  2022년에는 전년 대비 매출이 100% 증가했으며, 2023년에도 5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한 것으로 예상된다. Dweller의 성공은 TINY HOUSE 시장의 성장에 발 맟춘 저렴한 가격이 수요 증가에 영향을 준 것 같다.
Dweller 외에도 Live Simply와 Tiny House Expedition도 성장률이 높은 TINY HOUSE 회사로 꼽힌다. Live Simply는 환경 친화적인 TINY HOUSE를 제작하고 있으며, Tiny House Expedition은 다양한 지역에 적합한 TINY HOUSE를 제작하고 있다.
 

그리고  "일론 머스크"

2017년 미국의 벤처 캐피털리스트이자 기업가인 맥도널드는 이전에 **Space Exploration Technologies Corporation (SpaceX)**의 투자자였으며, Tesla Motors의 이사회 멤버였다. 그는 Daimler AG에서 건축 책임자로 근무했던  울프와 조립식 TINY HOUSE회사를 설립했다. 회사의 이름은 BOXABL!  
다른 TINY HOUSE보다 제작기간과 비용을 절감하는 조립식 구조와 다양한 디자인을 내세워 23년 기준으로 업계 3위에 올랐다. 2022년 11월에 일론 머스크는 Boxabl에 투자하고,  회사의 지분 10%를 인수했다.  일론 머스크의 투자로 Boxabl의 브랜드 인지도와 신뢰도가 높아졌다. 일론 머스크는 Boxabl을 통해 TINY HOUSE 운동을 대중화하고, 보다 많은 사람들이 저렴하고 환경 친화적인 주거 공간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무엇보다 BOXABL의 모듈식 이동식 주택이 테슬라의 전기차와 연계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테면 테슬라의 전기차를 이용하여 BOXABL의 이동식 주택을 이동시킬 수 있다는 것이었다.

2023년 8월 기준 Boxabl의 지분 소유 비율

마이클 맥도널드 40%
비욘 울프 30%
일론 머스크 20%
기타 투자자 10%

 
2023년 8월 2일 기준으로  Boxabl의 시가총액은 약 30억 달러이다. 일론 머스크는 지난 2023년 1월, BOXABL의 경영진과 사업 방향에 대해 의견 차이가 있다는 이유로 투자를 철회했고 당시에  BOXABL은 일론 머스크의 투자 철회로 인해 회사 운영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고 우려했지만 지난 2월, 투자 철회를 번복하고 재개하기로 합의했다. 일론 머스크는 BOXABL에  5000만 달러를 투자하고, BOXABL의 이사회에 합류하기로 했다. 2023년 12월에 Boxabl에 대한 투자를 재개하여, 10%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참고로, 일론 머스크는 2021년 6월에 Boxabl의 Casita 모델을 구입했다. Casita는 361평방 피트의크기로, 침실, 거실, 주방, 화장실이 갖추어져 있다. Casita는 조립식 구조로 되어 있어, 1시간 만에 설치할 수 있다고 한다.
 
 
TINY HOUSE의 평균 가격은 약 60,000달러이다. 물론,  크기디자인재료 등에 따라 달라질  있지만 미국의 평균 주택 가격인 약 300,000달러에 비해 매우 저렴한 수준이다.  TINY HOUSE 운동은 단순히 작은 집을 짓고 사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이 운동은 대규모 주거지와 소비주의에 대한 비판이며, 단순하고 지속 가능한 삶을 추구하는 사람들의 움직임이다. 90년 당시 미국에서는 주택 가격이 급등하고, 금융위기가 발생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저렴한 주거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 다. 이에 TINY HOUSE는 저렴한 비용으로 내 집을 가질 수 있는 대안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TINY HOUSE를 소유하고 거주하는 이들은 자연스럽게 소유뮬의 양을 줄이고 작은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살아가기 위한 일환으로 자연스럽게 내면의 풍성함을 추구하는 행복을 추구한다. 이제 주택문화의 혁신적인  문화트렌드로  TINY HOUSE는  미국 내에서 상대적으로 적게 드는 주택구입및 규제되는 법안들이  조율되어  또다른 거주문화로 자리잡고 세를 넓혀가고 있는 듯 보인다.

반응형